최충호는 청주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오랫동안 경영 컨설턴트로 일해왔다. 현재 그는 제일 경영 컨설팅 회사의 대표이사이다. [편집자주]
2009년 비트코인이 처음 등장한 이후 전 세계적으로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후 비트코인은 가상화폐, 암호화폐, 디지털 화폐, 암호자산 등 다양한 용어로 정의되고 있다.
암호화폐(Cryptocurrency)는 블록체인 기술(해시함수)을 바탕으로 거래되는 4차산업 사회에서 기존 화폐보다 간편한 교환수단으로 이용 가능하며, 가상화폐(Virtual currency)는 게임머니나 포인트 등 실제 화폐는 아니지만, 교환가치가 있는 교환수단으로 이를 디지털 자산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디저털 자산은 현재 테슬라 등 일부 기업에서 자사 상품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엄연한 현실이다. 즉 가상화폐는 단순한 디지털 자산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암호화폐는 디지털 자산으로서의 가치와 기능을 가지며, 분산 시스템을 바탕으로 운영되고 있다.
요즘 많은 사람들이 가상화폐에 투자하여, 한순간에 거액을 벌었다거나 반대로 순식간에 투자금 전체를 상실했다는 기사를 접하면서, 가상화폐 투자에 대한 일반 국민의 관심사가 크게 고조되었다. 이 현상은 가상화폐가 기존화폐의 간편한 대체 편의성이라는 본연의 기능이 아닌, 투자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가상화폐가 가지는 기술적 강점보다 가상화폐가 투기의 수단으로 인식되면서 가상화폐를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이 부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2014년 EBA(European Banking Authority)에서는 비트코인을 가상화폐로 분류하였고, 이를 “중앙정부나 공공기관에 의해 발행되거나 여타 법정화폐에 기초하지는 않으며, 개인 및 법인에 의해 지불수단으로 받아들여지며 전자적으로 이전, 저장, 교환되는 디지털 가치 표상”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 정부와 한국은행에서는, 코인에 화폐라는 용어를 붙이는 것에 대해 극도로 경계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금융당국의 관점에서, “코인은 화폐의 3대 조건인 △가치의 저장 △가치의 척도 △교환의 매개 기능 중, 어떤 것도 충족하지 못하므로 내재 가치가 없는 컴퓨터 파일 조각을 어떻게 화폐라고 할 수 있느냐는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정부에서는 코인을 ‘가상자산’이라 정의했다. 이에 비해 코인은 명명하는 주체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데, 학계와 같이 코인의 기술적 특성을 강조하는 이들은 암호화폐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대중들은 가상화폐라는 용어를 친숙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게 현실로서, 코인의 투자 가치에만 관심이 쏠려 있는 것 같아 아쉽다.
<저작권자 ⓒ 먼데이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